삶과 나/미술관련 (63)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선의 회화(3) ** 금강 사군첩(金剛四郡帖) 이 금강산화첩은 김홍도(1745~1806)가 44세 때 김응환(金應煥)과 함께 다닌 금강산 및 관동8경 지역을 그린 것이다. 김홍도는 여행에서 그려 온 초본(草本)에 의거해 채색횡권본(彩色橫卷本)과 화첩본(畵帖本, 5권 70폭) 두 가지를 정조에게 진상했다. 그 중 횡권본.. 이인문의 강산 무진도 ** 이인문의 < 강산 무진도 > 조선의 회화 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두루마리. 비단바탕에 수묵담채(水墨淡彩). 세로 44.1㎝, 가로 856㎝. 그림의 첫부분과 끝부분에 김정희(金正喜)의 수장인(收藏印)이 찍혀 있어 원래 김정희의 소장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그림은 강산만리의 변화무쌍.. 조선의 회화 ** 조선시대 회화 감상 1. 안견<몽유도원도> 화운 안견(호 현동자)이 1447년 4월20일 안평대군의 꿈을 듣고 3일 만에 완성한 그림이다. 이그림에 부착된 두루마리로 꾸며진 찬 가운데 안평대군의 서시에서 천년 동안 보전되기를 기원하고 있다. 조선시대에 일본에 유출되어 현재 덴리대.. 근정전 이야기 ** * 첫째 이야기 제목 : 근정전 전각에서 조선을 이끈 사대부 모습을 본다. 부제 : 한옥의 조형성에 보이는 조선의 사회성 발표자: 강유경 15th.Oct.2016 * 조금 전까지 여러분에게 한옥에서 사회적 소통공간인 사랑체가 경복궁에서는 격이 한층 높은 치조구간의 주요 전각인 근정전(대청), 사.. 미학으로 살펴보는 경복궁 조정 ** 테마 : 공간 , 흐름 소통은 삶의 미학으로 통한다. 부제 :( 한옥으로 풀어보는 치조구간의 감성해설) 이름: 강유경 날짜: 2016년 8월 13일 토요일 인사말(1분) : 대상 성인 (영제교 북단) 안녕하십니까!. 만나뵙게되서 반갑습니다. 저는 오늘 경복궁 답사를 오신 여러분께 궁궐의 외전 즉 치조.. 조선의 5대 궁궐 ***조선의 궁궐 이야기 조선의 정궁인 경복궁, 이궁과 별궁인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을 합하여 흔히 五大宮이라 한다. 곤륜산에서 간룡이 뻣어 나와 고비사막을 지나 산동. 무산. 여산을 만들고 요동벌을 잠용하여 문득 고개를 치켜들어 솟아 대악을 이루니 우리 민족의 조종산인 백두산이다. 조선 영조 때 지리학자 여암 신경준의 '산경표'에 반도의 척주인 백두에서 지리산까지 대간의 길이가 1,625km라 했다. 백두대간은 1개의 장백 정간과 13개의 정맥으로 갈비뼈처럼 형성 한반도의 산맥을 이루고 있다. 이 대간의 한북정맥이 원산 넘어 분수령 서남으로 출각하여 층층 절절이 전환굴곡하면서 주맥인 불곡산에서 낙맥과 기봉으로 도봉산에 이른다. 주봉인 자운봉과 남쪽 만장봉이 서울.. 종묘 ** 종묘 종묘는 조선왕조의 왕과 왕후 추존왕과 왕후의 신주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네는곳이다민가의 사당을 家廟라하고 왕가의 사당을 종묘라 한다.종묘는 1963년 1월 18일 사적 제125호로 지정되었다. 총면적 5만 6503평. 서울 종로구 훈정동1번지에서 와룡동 2번지에 걸쳐있다. 원래는 정전(正殿)을 가리키며, 태묘(太廟)라고도 한다. 중국의 우(虞)나라에서 처음 시작된 종묘제도는 상(商)·주(周) 시대에는 7대조까지 묘(廟)에 봉안하는 7묘제가 시행되다가 명(明)나라 때에는 9묘제로 바뀌었다. 한국의 경우 종묘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392년(고구려 고국양왕 9)에 보이며, 신라에서는 5묘제, 고려에서는 7묘제로 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5묘제도를 따르다가 중기 이후부터는 치적이 많은 왕은 5대가 지나도.. 수원화성 수원 화성을 다시 본다. 김동욱 (경기대학교 교수) 세계가 격찬한 수원 화성의 치밀함 오늘 주제는 수원 화성입니다. 우리 나라에서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에 등록되어 있는 문화재는 다섯 개입니다. 종묘, 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창덕궁도 있지만 특히 수원 화성은 다른 유적에 비해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