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오늘은 숲 해설활동을 하면서 느끼는 어려움들 중의 하나인
습지식물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 져한다.
전체 지구상의 생물의 약40%가 습지에 살고 있는 만큼 도처에서
내륙습지(하천 호수 및 산 습지, 인공습지) 및 연안습지(갯벌 등)가
형성되어 있다.
습지는 육상 생태계와 수상 생태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며 동시에
각종 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여 생태학적으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수생식물을 정의해 보면 생태적으로 물가나 물속에서, 수중에서
육상으로 올라온 생물 중 다시 물속이나 물가로 되돌아간 동물은
고래가 대표적이지만 , 정상적인 생육을 하며 또는 생활사의 한 시기를
수중에서 지내는 식물을 의미하며, 식물은 수생식물로 물속이나
물가로 내려가 살기위해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고 적응하여 생육하고
있는 데 그 적응 요소 별로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빛 산소 탄산가스의 부족에 대한 적응
침수성 식물은 표피층이 매우 얇고 기공이 덜 발달됐으며, 육상과
달리 기공이 잎 앞면에 형성되어 있다.
빛을 많이 받기 위해 침수성 식물은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잎이 많이 갈라지고, 부엽성은 큰 잎을 갖거나 잎을 넓게 펼쳐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둘째. 물의 저항에 대한 적응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침수성은 잎이 갈라지고, 잎 표면의 큐티클
층이 없기도 하며 표피조직이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연약하다.
셋째. 뿌리의 기능이 축소되었다.
물속에서 온 몸으로 물을 흡수하므로 뿌리는 땅에 고정시키는 역할
만하고 무기양문 흡수는 기능은 축소되었다.
넷째. 통기조직을 발달시켰다.
뿌리와 줄기 등에 통기조직이 발달되고 이런 통기조직은 물속에서
수생식물을 뜨게 만들어 직립할 수 있게 했다.
즉 생태적 특성으로 구분해 보면
1. 정수성 – 토양에 뿌리줄기를 내리고 줄기와 잎은 수면 위로 나오는 종류.
2. 부엽성 – 수중 바닥에 뿌리를 내리고 줄기와 잎이 떠있는 종류.
3. 침수성 – 수중 바닥에 뿌리를 내리고 줄기와 잎이 대부분 모두 수중에
침수되어 생육하는 종류.
4. 부유성 – 뿌리를 비롯하여 전초가 대부분 물 위에 떠서 생육하는 종류.
로 나누어 볼 수있다.
수생식물은 물을 정화하는 방법 중에 관리비가 적게 들어 에너지 절약형
수질 정화시설(식물군)이라고 한다.
만일 습지의 물풀 등 수생식물이 생육할 수 없는 환경이 된다면
연안어업은 물론 수생식물이 제공하는 서식처에 생육하는 하고많은 생물도
사라질 것이다
왜냐면 수질오염은 차치하고서도 물에 쏠려 무너지는 토양방재를
무엇으로 대체할 수 있겠는가,
수생식물은 우리에게 휴양과 생태관광의 기회를 제공함은 물론
주택의 정원, 실내의 삶을 풍부하게 하는 관상의 효과도 매우 크다.
< 가래>
< 갈대 >
< 개구리밥 >
< 개구리자리>
< 개발나물>
< 새수염>
< 고마리 >
< 골풀>
< 구와말>
< 낙지다리>
<네가래>
< 땅귀개>
< 마름>
< 말즘 >
< 매자기>
< 물고랭이>
<물꼬쟁이골 >
< 물달개비 >
< 물방동사니>
< 물배추>
< 물보풀 >
< 물사마귀>
< 물상추>
< 물수선화>
< 물수세미>
< 1 of 2>
2019.11.01. 한바다
'삶과 나 > 숲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과식물 (0) | 2019.11.30 |
---|---|
습지(수생)식물에 대한 소고(2-2) (0) | 2019.11.03 |
고사리에 대해 (0) | 2019.10.23 |
봄꽃(초본 목본)살펴보기 (0) | 2019.04.27 |
도시로 부는 생명의 바람 (0) | 2019.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