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삶/자연휴양림 강씨봉

자연휴양림 강씨봉.18.6.20

**

*

왜 사느냐고 물어 온다면

너를 사랑하려

산다 하리라

왜 사느냐고 또 물어 온다면

너를 미워하려

산다 하리라

*


       오후에 가평 시내로 가서 도서관에 책 반납하고 친구집을 방문하려고 7시에 출발하여

      강씨봉 휴양관 주차장에 차를 정차시키고 데크로드를 등산 초입으로 잡고 출발했다.

         아침에 구름이 끼고 안개같은 보슬비가 살짝 내렸다.

       성하를 준비하는 데크길이 조금은 축축한 느낌으로 다가 온다.

     데크길은 조금은  깊게 느껴지는 계곡을 가로질러 잎깔나무숲과 연결되는 다리에서

    끝나고 본격적으로 숲길로 들어선다.

       대피소를 지나면 폭이 2.5m 정도되는 낡은 세멘트 다리를 건너게되는 데  요즘은

      장마를 앞두고 건기라서 시냇물도 많이 줄어서 소에도 많은 물이 고이고 흐르지 않는다.

    오뚜기고개(포천 1동으로 이어지는 고갯마루)쪽으로 가려면 왼쪽으로 도성고개(포천 2동으로 가는 고개마루)로

   가려면 오른쪽으로 방향을 잡아야 항다.

   강씨봉에 오르는 것이 목적이라면 왼쪽 방향은 정상까지 7km, 오른쪽은 4km 정도는 알고 한편 등산 맛을 보려면 왼쪽으로

   택하는 편이 좋다 등산하는 맛이난다.. 오른쪽은 완만하다. 연인과 함께라면 take right diraction.

     도성고갯길을 오르다보면 자작나무숲을 만나게 된다.

    닥터 지바고에 나오는 넓은 자작나무숯을 기대하지 않는 편이 좋다. 단지 맛만 보는 거다.

    이지점에서 좀더 올라가면 물푸레나무숲을 볼수 있다. 도육림지다.

         물푸레숲이 끝나는 지점으로 좌측 전면에 보이는 나무가 물푸레나무이다

       물푸레나무는 결이 좋고 재질이 튼튼해 야구방망이나 골프용 1.2.번 우드에 쓰인다.

       줄기는 얿게 토막을내 물로 끊여서 눈을 씻으면 백내장, 녹내장 치료에 특효약이라 한다.

       병원에서 처방하는 약은 치료제가 아니고 병의 진행을 더디게 하는 작용 뿐이라고 들었다.

    도성고개 마루가 눈앞에 있다.

   전에는 있던 이정표(목재)가 보이지 않는다.  아마 해발 640m라고 쓰여 있던 것으로 생각한다.

              포천 2동쪽에 농무가 끼어 찍지못하고 대신에 본인을 찍었다.

             고갯마루에서 왼쪽 등선을 택해 오르면 강씨봉으로 갈 수 있다.

          좌측은 잣나무숲이 펼쳐져있고 오른편 능선으로 참나무숲이 계속 달린다. 

          본격적으로 능선을 오르게 되는데 앞에 보이는 나무계단을 같은 것을 여러번 오르게 된다,

        암반이 아니고 흙이 지표면을 덮고있어 비가오면 질퍽거린다.

        오르다보면 다래덩클이 많이 엉켜있고 있고, 그 가운데도 오른쪽엔 큰 산뽕나무가 많이 있다.

        이번에 오를 때는 오디가 검게 익어서 올라가며 틈틈이 따 먹었는데 맛이 기막히다.

     정상이 보이는 곳에 나무의자가 두개 준비가 되어있다.

    이 지점이 백호봉으로 해발 815m 가 된단다.

    여기서 부터 강씨봉 정상까지는 약 300m 정도가 더 가면 된다.

               강씨봉은 흐르는 안개구름으로 가려져있다.

          강씨봉 정상이다.  현위치는 다사89669665다.

        정상에 탑이 없어 정상이 주는 맛은 느낄 수 없비만 주위를 둘러보면 높은 위치임을 알 수 있다.

        북한산 정상 백운대가 836m 이고 도봉산 선인봉이 740m임을 비교해보라.

        여기서 정남으로 보이는 봉이 귀목봉으로 1036m이고 그너머 멀리 명지산(1267m)이 있다.


      이번에는 오뚜기고개 쪽으로 하산하지않고 지름길을 택해 동쪽으로 내려갔다.

     직벽이라 경사도가 매우 높다. 약 1.5km 정도가 되는데 밑에서 오르려면 정말 힘이 많이 든다.



      내려와서 이곳 소에서 온몸을 싰고 좀 쉬다가 내려왔다.

     쉬리가 보이고 올챙이, 도룡용 성체가 보였다.  이넘은 육식을 하는지 작은 물속 애벌레를

     잡아먹는 것이 보인다.

      금년 봄에 다래나무 큰 줄기들을 참 많이 잘랐는데 쬐금 후회가 된다.

     왜 다른 분들이 수목들을 억세게 괴롭히는 대형 다래나무를 짜르지 않은

     이유를 지금에 와서 알았다.   다레나무다.   개다래, 쥐다래는 지천에 깔려있다.

     작은 매주같이 생긴 것이 익어도 파랗고 맛이 끝내준다.  그리고 암꽃 수꽃이 따로 있는데

     다레는 꽃수술도 까멓고(다른 종자는 노랗다) 4월말경에 개화했는데 다른 종자는 지금 한창 개화한다.




                                              북한의 국화 , 함박꽃이다.  향기가 좋은데 산목련 쯤으로 생각하면 된다.



                        좀처럼 보기 힘든 박쥐나무가 이곳에서는 지천에 깔려 보면 묘한 기분이 든다. 노리개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