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과 나/음악관련

(27)
한번 쯤 멋있게 불러보고 싶은 팝 ** ** 1. Love Me tender 앨비스 프레슬리(1935년~1977년) 미국 투펠로 ' 러브 미 텐더 '로 데뷔 * 가사 보면서 부르기 2. Unchained melody 김연자 (1959년 광주) 1974년 앨범 "말해줘요"로 데뷔 * 가사 보면서 부르기 3. You raise Me up 김호중(1991년 출생) 성악가 가수 2020년 조선 TV 미스터트롯 Top6 2013년 앨범'나의사람아'로 데뷔 * 가사 보면서 부르기 4. I wanna break free QUEEN(멤머명) 싱어 프레디 머큐리와 멤버 로지테일러, 브라이언 메이,존디콘 1973년 1집 '퀸'으로 데뷔 * 가사 보면서 부르기 ** 2021.2. 한바다
트로트 민족 (제10회 최종 4위 선발전) 지난 25일 밤 열린 MBC 국내최초 k-트로트 지역대항전의 노래 몇 곡 올려 본다. 강인선 기획, 김현준 외 연출한 제10회 결승전행 TKT 잡기 행사는 시청률 16.9%로 높은 국민의 관심을 얻고 있는 행사로 숨겨진 트로트 고수감을 선발해내는 목적이다. 1위 안성준, 2위 김소연 3위 김재룡 4위 더블레스 순으로 진출했다. 공연을 보먄서 느낀점은 대중음악은 전문가적 뒷받침 속에 끊임없이 변화하는 일반대중의 대중음악 장르를 초월하는 문화예술적 욕구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
70년대 청년문화 중심의 통기타문화 감상 ** ** 석연치 않은 이유(이씨 왕조는 나라를 운영할 능력이 없다)로 나라를 잃고 고통을 겪은 국민에게 미국을 등에 업고 36년 동안 국민을 피폐하게 했던 구 일본 경찰제와 검찰인원으로 한 치안유지와 부정부패 행정으로 국가 재건의 찬스를 놓친 이승만정부가 4.19 학생의거로 붕괴 후 박정희 군사정권(5.16)에 나라를 맡기게 됨으로 , 한편으로는 국가재건을 위해서는 잘한 정부였다고 일부 국민들은 말하지만, 우리 50년대 출생하고 유신군사정부를 겪은 세대는 말한다, 전혀 그러하지만은 않다고, 무시무시한 일본식 강권통치로 다스린, 그 중 하나가 해방 후 20년 만에 맺은 굴욕협상인 한일협정(1965.6.22.)이 그 것이다. 풀어서 ‘한일 기본조약 및 청구권 등에 관한 협정’으로 일본은 한일합방 후 갖은 ..
70th 1950-2020 한국내전과 그때 그노래 제65회 현충일에 즈음하여 1950년대 민중가요 ** ** # 1950년 유호작사/박시춘 작사 # 1950년 노래/신세영 유호작사/박시춘작곡 # 1951년 노래/금사향 손로원작사/박시춘작곡 # 1952년 노래/심연옥 유호/손목인 # 1952년 노래/배설희 손로원/박시춘 # 1953년 노래/남인수 호동아/박시춘 # 1953년 노래/형인 강사랑/박시춘 # 1954년 노래/유산춘 박금호/나화랑 # 1955년 노래/박재홍 손로원/이재호 # 1956년 노래/이해연 반야월/이재호 # 1957년 노래/나애심 정성수/전오승 ** 이상 2020년 6월6일 한바다
트로트 한 세대(1960~1980년대의 트로트) 3-3 * - 80년대 팝발라드의 시대 , 트로트의 부활과 전통가요 완성 발라드는 음악에서는 자유로운 형식의 감상적인 곡조에 사랑을 주제로 한 서정적인 노래로 다양한 기법 중 일반적인 것은 중심되는 단어, 문구를 여러 번 반복하는 것이다. 80년대의 팝발라드는 미국 백인의 쉽고 평범한 음악으로 프랭크 시나트라, 앤디 윌리엄즈, 바브라 스트레이 등 탑가수들의 발라드와 팝싱이 혼성된 미국 대중음악으로 70년대의 팝송과는 대조적으로 화려한 선율과 화성이 특징적이다. 이용1981. 이선희1984 , 이광조, 이문세, 변진섭, 신해철, 이승철 윤상, 신승훈 등의 탑 팝발라드 가수들이 나온다. * 정치경제적인 면에서는 베트남 참전의 특수. 보상으로 경부고속도로 건설(1970)의 효과와 국제경제의 3저(유가, 금리, 환율)..
트로트 한 세대(1960~1980년대의 트로트) 2-3 ** - 70년대 음악 (대중가요의 뿌리 깊은 이식성과 우리의 대중가요 트로트) 70년대 초반의 우리의 대중음악계는 어느정도 경제성장의 힘을 받아 동란의 고통에서 벋어나 중산층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했고 그것이 새로움을 추구하는 원인이 되어 청년문화의 출현을 가져온다. 당시 청년문화는 통기타 문화라고도 할 수 있는데 종로와 명동의 음악감상실을 중심으로 시내 중심가부터 서서히 변화 시작되었고 방송을 통해 나중에 대중에게 폭 넓게 전파되게 된다. 70년대 초반의 포크송은 기성세대의 문화 , 성인문화에 대항하는 신세대 문화라는 구도 나타난다. 즉, 촌스럽고 질 낮은 노래라는 식의 감각적 반응이나 일본적인 것 보다는 더 새롭게 생각되는 미국적인 것이 세련되고 아름다워 보여 미적으로 본받아 배워야 할 본보기(典範)..
트로트 한 세대(1960~1980년대의 트로트) 1-3 ** 서두에 코로나19의 극복과정에서 행정공무원이나 일부 관련 관련의사와 유통업계를 제외하고는 대다수 국민은 일손을 놓고 인수공통 전염병의 고통을 감수하고 있고, 해방구로서 미스터 트롯 방송에 열광적으로 관심을 주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오늘은 이전에 올린 졸고에 이어, 50년대 트로트는 나중에 올리기로 하고 , 60년대~80년대까지의 트로트의 변화를 살펴보기로 하는데 시간이 되면 한 곡씩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사실 30년이라면 한세대를 의미하는데 본인과 같은 50년대에 출생을 한 사람은 생활 속에서 트로트란 서민음악을 듣고 희노애락의 감정을 공유해왔다. 왜냐면 서민음악의 한 장르인 트로트는 다른 장르의 음악과는 달리 비교적 서민들이 생활 속에서 향유하고 싶은 취향과 욕망의 형상물을 예술적 관습인 음악..
불멸의 근대 우리민족 가요(2) ** ** [해방(1945년)과 6.25 동란 회복기(1959년) (해방과 분단 한국동란 희망 절망과 극복기) ] 1937년 9.21~11.15.소련 극동 연해주 한인: 20만명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1941년 조선연극협회와 조선연예인협회가 조선연극문화협회로 통합 1945년 일본 200만명 중 150만명 귀국 , 60만명 잔류 중국, 만주, 극동 연해주 한인 100만 명 정도 잔류 최성두 고려레코드 유한공사 창설 1946년 해방 후 첫 음반회사 조선국립레코드제작소(평양) 설립 LP판 1947년 압록강 두만강 통해 도보 80만(45~47년 까지)귀국, 중국 귀국선 7만명 귀국 1947년 2.4. 주파수 87.8MHZ 출력 50kw 방송 시작 1947년 6월. 1927년 설립 경성방송국 -> 서울중앙방송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