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층은 팔요황천살(八曜黃泉殺)을 표시해두었다. 모두 8개 방위의 황천살을 나타낸다.
패철 1층 24방위 중에서 3방위마다 진(辰), 인(寅), 신(申), 유(酉), 해(亥), 묘(卯), 사(巳), 오(午) 글자가 쓰여있는데, 8방위의 살(殺)이라하여 용상팔살(龍上八殺)이라 부른다.
임자계룡(壬子癸龍)에 진향(辰向)을 하면 용상팔살이다(坎龍→辰向) 패철 제 1층은 황천수(黃泉水)를 측정하는 칸으로 일반적으로 용상팔살(龍上 八殺)이라 한다. 황천수는 무덤 속[광중(廣中)]으로 스며드는 물을 가리킨다. 이러한 방향으로 물이 들면 후손들이 암이나 당 뇨, 신장병 등에 걸리고, 재난을 당하여 하루아침에 망한다고 한다. 패철 4층을 기준으로 보아 내룡이 임자계(壬子癸) 방위에 서 왔을 때에 묘를 진향(辰向) 즉, 술좌진향(戌坐辰向)을 놓으면 용상팔살에 걸린다. 다른 방위도 마찬가지로 아래와 같다. 미곤 신 룡(未坤申龍)→ 묘향(卯向) 갑묘을 룡(甲卯乙龍)→ 신향(申 向) 진손사 룡(辰巽巳龍)→ 유향(酉向) 술건해 룡(戌乾亥龍)→ 오향(午向) 경유신 룡(庚酉辛龍)→ 사향(巳向) 축간인 룡(丑艮寅 龍)→ 인향(寅向) 병오정 룡(丙午丁龍)→ 해향(亥向) 풍수의 목 적은 흉한 것은 피하고 길한 것은 찾는 것인데, 막상 묘를 찾아 가 보면 용상팔살에 걸린 묘를 실제로 자주 보게 된다. 일부의 풍수가는 용상팔살조차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용상팔 살에 걸린 묘를 보면 대개는 봉분 뿐만 아니라 무덤의 아래쪽까 지도 황토 그대로 드러나 매우 흉한 모습이다. 만약 조상의 묘 중에서 아무리 잔디를 심어도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벌건 황토 가 드러나면 용상팔살에 걸렸는가를 의심해야 한다. 패철 제 2층은 무덤으로 침입하는 바람인 팔요풍(八曜風)의 방위를 측정하는 칸이다. 산에는 깊은 산골짜기에서 일어나는 냉기가 바람이 되 어 불어오는데, 이 바람은 혈을 허약하게 만듦으로 꼭 막아야 한다. 패철 4층으로 보아 내룡이 임자 방이나 신술 방에서 왔을 때는 건해방에서 바람이 불어오니, 건해방 쪽을 막아서 바람이 불어오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패철 2층의 건(乾)자 옆에 비어 있는 칸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양의 조화를 이루는 위해 해(亥)자가 들어가야 하나 비워 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 내룡에 따라 팔요풍이 드는 방향을 보아 허약하면 방풍을 해 주어야 한다. 임자․신술 룡→ 건해 방 계축․갑묘 룡→ 간인 방 을진․병오 룡→ 손사 방 정미․경유 룡→ 곤신 방 건해 룡 → 신술․임자 방 간인 룡→ 계축․갑묘 방 손사 룡→ 을진․병 오 방 곤신 룡→ 정미․경유 방 팔요풍이 들면 보통 자손이 끊 어지거나, 후대에 가서 가문이 쇠퇴한다고 한다. 질소가 78%나 함유된 바람이 광중으로 드나들면 유골이 급속히 산화되어 나 쁜 기를 발산하기 때문에 후손들 중에 중풍에 걸리거나 재산상 의 손해를 입어 점차 몰락해 가는 것이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팔요풍이 드는 방향이 내룡의 방향과 가까이 붙어 있어 판별하 기가 어렵다. 보통의 무덤에서는 묘를 감싸는 곡장(曲墻)이나 성(城)을 둘러 팔요풍을 방지한다 패철 제 3층은 동양의 우주관이 집약된 삼합오행(三合五行)의 운용이 표시된 칸으로 이기론 풍수의 골격을 이룬다. 이는 오행국(五行局)을 판별하고, 내룡과 향의 길흉과 득수(得水:물을 얻는 것)와 거수 (去水:물이 빠져 나가는 것)의 합법 유무를 판단한다. 수(水)자 를 보면 자(子), 신(申), 진(辰)에 있는데, 이는 천간의 짝인 임 (壬), 곤(坤), 을(乙)도 함께 본다. 즉 이 경우는 오행국 중 수국 (水局)이며 내룡이 임자(壬子)방에서 오고, 물이 을진(乙辰)방으 로 빠지면 묘의 향은 곤신(坤申)방을 하라는 뜻이다. 또 내룡이 곤신방에서 오고 물이 을진방으로 빠지면 묘의 방향은 임자 방 으로 하라는 뜻이다. 화국(火局)과 목국(木局) 그리고 금국(金 局)도 마찬가지로 본다.(다음 장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패철 제 4층은 지반정침(地盤正針), 또는 내반정침(內盤正針)이라 하여 내룡의 용맥과 입수(혈을 만들기 위해 최종적으로 생기 에너지를 응결 시킨 곳)의 방위를 재고, 양택 풍수에서는 주택의 좌향까지도 정한다. 그러나 한가지 명심할 사실은 묘의 좌향이나 물의 방향 을 정하는 대는 절대로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과 좌향은 패 철 제 8층의 천반봉침으로 정해야 한다. 내룡의 이기를 잴 경 우, 내룡이 배합되었는가 아니면 불배합되었는가를 중요시 보 아야 한다. 내룡도 음과 양이 조화를 이루어야 길하니 쌍산오행 (雙山五行)이 잘 배합되었는지 살펴야 한다. 만약 쌍산의 중심 선 상으로 뻗지 못한 불배합룡은 잠룡(潛龍)이라 하여 흉한 것 으로 본다. 이를테면 임자 堧막 내룡이 뻗지 못하고, 바로 옆의 해(亥)자와 임(壬)자 사이로 뻗으면 불배합룡이다. 중요한 원리 이기 때문에 다시 설명하였다. 패철 제 5층은 천산 72룡(穿山七十二龍)을 나타낸 것으로 결인처(結姻處)의 길 흉을잰다. 내룡이 아래로 뻗어 내리다 다시 솟구치기 직전의 낮 은 부분을 결인이라풍수는 부르는데, 보통은 과협과 동일한 개 념이다. 즉 과협의 길흉을 재는 것으로사실상 현장 풍수에서는 쓰임이 적다. 9층으로 된 패철이 아니라, 5층으로 된패철을 사 용하는 풍수가는 혈의 만두[승금(乘金: 묘의 윗 중앙 부분)에 패철을 놓고내룡의 길흉을 재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혈을 이 룬 내룡의 길흉은 제 5층이 아니라 제 7층으로 감결해야 한다. 패철 5층은 내룡이 아니라 과협의 길흉을 재는 것이다. 과협의 길흉을 감결할 때는 천산 72룡 중에서 5개의 칸만 따진다. 즉 내룡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70~90센티미터의 간격 을 두고 생기의 흐름이 변하는데, 중심선은 쇠기맥으로 생기가 쇠한 곳이라 좋지가 않다. 임자룡의 경우 갑자(甲子)는 병기맥 이고, 병자(丙子)는 왕기맥이고, 무자(戊子)는 쇠기맥이고, 경자 (庚子)는 생기맥이고, 임자(壬子)는 사기맥이 된다. 이것은 원리 를 적어 놓은 것이니 외우기보다는 현장에서 분금에 맞추어 적 용하면 된다. 이 경우 생기맥과 왕기맥으로 과협이 들어와야 좋 다. 중간의 빈칸은 대공망(大空亡)이라 하여 이 칸으로 들어오 는 내룡과 맥은 쓰지 않는다. 중국의 패철에는 정(正)자로 표시 되어있다. 패철 제 6층은 인반중침(人盤中針)으로 송나라 때 뢰포의(賴布衣)가 창안했다. 그는 『최관편(催官扁)』을 저술하여 혈처를 중심으로 주변의 사봉(砂峰: 혈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의 모든 산)이 혈에 도움을 주는 것인지 혹은 해를 주는 것인지 밝혔다 패철 제 7층은 투지육십룡(透地六十龍)이라 하며, 내룡의 길흉을 정하는데 사 용되어 시신을 안장할 때는 매우 중요한 층이다. 임자룡의 경우 를 살펴보면, 갑자(甲子)는 병기맥, 병자(丙子)는 왕기맥, 무자 (戊子)는 쇠기맥, 경자(庚子)는 생기맥, 임자(壬子)는 사기맥에 해당됨을 뜻한다. 이 역시 내룡을 타고 흐르는 생기의 이기를 밝힌 것이니 현장에서 적용만 하면 된다. 현장에선 내룡의 중심 선은 쇠기맥이고, 중심선에서 70~90cm 떨어진 곳은 생기맥과 왕기맥이며, 다시 그곳으로부터 70~90cm 떨어진 곳은 사기맥 과 병기맥이다. 내당의 자연이 좌선수이면 생기맥에 혈을 잡고, 우선수라면 왕기맥에 혈을 잡는다. 중요한 것은 내룡의 중심선 인 쇠기맥에 혈을 잡으면 안된다는 점이다. 그런데도 옛 묘의 대다수는 내룡의 중심선인 쇠기맥에 혈이 잡혀져 있다. 패철 제 8층은 천반봉침(天盤縫針) 혹은 외반봉침(外盤縫針)으로 물의 득(得) 과 파(破) 그리고 묘의 좌향을 잡는데 사용한다
패철 제 1층은 황천수(黃泉水)를 측정하는 칸으로 일반적으로 용상팔살(龍上 八殺)이라 한다. 황천수는 무덤 속[광중(廣中)]으로 스며드는 물을 가리킨다. 이러한 방향으로 물이 들면 후손들이 암이나 당 뇨, 신장병 등에 걸리고, 재난을 당하여 하루아침에 망한다고 한다. 패철 4층을 기준으로 보아 내룡이 임자계(壬子癸) 방위에 서 왔을 때에 묘를 진향(辰向) 즉, 술좌진향(戌坐辰向)을 놓으면 용상팔살에 걸린다. 다른 방위도 마찬가지로 아래와 같다. 미곤 신 룡(未坤申龍)→ 묘향(卯向) 갑묘을 룡(甲卯乙龍)→ 신향(申 向) 진손사 룡(辰巽巳龍)→ 유향(酉向) 술건해 룡(戌乾亥龍)→ 오향(午向) 경유신 룡(庚酉辛龍)→ 사향(巳向) 축간인 룡(丑艮寅 龍)→ 인향(寅向) 병오정 룡(丙午丁龍)→ 해향(亥向) 풍수의 목 적은 흉한 것은 피하고 길한 것은 찾는 것인데, 막상 묘를 찾아 가 보면 용상팔살에 걸린 묘를 실제로 자주 보게 된다. 일부의 풍수가는 용상팔살조차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용상팔 살에 걸린 묘를 보면 대개는 봉분 뿐만 아니라 무덤의 아래쪽까 지도 황토 그대로 드러나 매우 흉한 모습이다. 만약 조상의 묘 중에서 아무리 잔디를 심어도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벌건 황토
가 드러나면 용상팔살에 걸렸는가를 의심해야 한다. 패철 제 2층은 무덤으로 침입하는 바람인 팔요풍(八曜風)의 방위를 측정하는 칸이다. 산에는 깊은 산골짜기에서 일어나는 냉기가 바람이 되 어 불어오는데, 이 바람은 혈을 허약하게 만듦으로 꼭 막아야 한다. 패철 4층으로 보아 내룡이 임자 방이나 신술 방에서 왔을 때는 건해방에서 바람이 불어오니, 건해방 쪽을 막아서 바람이 불어오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패철 2층의 건(乾)자 옆에 비어 있는 칸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양의 조화를 이루는 위해 해(亥)자가 들어가야 하나 비워 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 내룡에 따라 팔요풍이 드는 방향을 보아 허약하면 방풍을 해 주어야 한다. 임자․신술 룡→ 건해 방 계축․갑묘 룡→ 간인 방 을진․병오 룡→ 손사 방 정미․경유 룡→ 곤신 방 건해 룡 → 신술․임자 방 간인 룡→ 계축․갑묘 방 손사 룡→ 을진․병 오 방 곤신 룡→ 정미․경유 방 팔요풍이 들면 보통 자손이 끊 어지거나, 후대에 가서 가문이 쇠퇴한다고 한다. 질소가 78%나 함유된 바람이 광중으로 드나들면 유골이 급속히 산화되어 나 쁜 기를 발산하기 때문에 후손들 중에 중풍에 걸리거나 재산상 의 손해를 입어 점차 몰락해 가는 것이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팔요풍이 드는 방향이 내룡의 방향과 가까이 붙어 있어 판별하 기가 어렵다. 보통의 무덤에서는 묘를 감싸는 곡장(曲墻)이나 성(城)을 둘러 팔요풍을 방지한다
패철 제 3층은 동양의 우주관이 집약된 삼합오행(三合五行)의 운용이 표시된 칸으로 이기론 풍수의 골격을 이룬다. 이는 오행국(五行局)을 판별하고, 내룡과 향의 길흉과 득수(得水:물을 얻는 것)와 거수 (去水:물이 빠져 나가는 것)의 합법 유무를 판단한다. 수(水)자 를 보면 자(子), 신(申), 진(辰)에 있는데, 이는 천간의 짝인 임 (壬), 곤(坤), 을(乙)도 함께 본다. 즉 이 경우는 오행국 중 수국 (水局)이며 내룡이 임자(壬子)방에서 오고, 물이 을진(乙辰)방으 로 빠지면 묘의 향은 곤신(坤申)방을 하라는 뜻이다. 또 내룡이 곤신방에서 오고 물이 을진방으로 빠지면 묘의 방향은 임자 방 으로 하라는 뜻이다. 화국(火局)과 목국(木局) 그리고 금국(金 局)도 마찬가지로 본다.(다음 장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패철 제 4층은 지반정침(地盤正針), 또는 내반정침(內盤正針)이라 하여 내룡의 용맥과 입수(혈을 만들기 위해 최종적으로 생기 에너지를 응결 시킨 곳)의 방위를 재고, 양택 풍수에서는 주택의 좌향까지도 정한다. 그러나 한가지 명심할 사실은 묘의 좌향이나 물의 방향 을 정하는 대는 절대로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과 좌향은 패 철 제 8층의 천반봉침으로 정해야 한다. 내룡의 이기를 잴 경 우, 내룡이 배합되었는가 아니면 불배합되었는가를 중요시 보 아야 한다. 내룡도 음과 양이 조화를 이루어야 길하니 쌍산오행 (雙山五行)이 잘 배합되었는지 살펴야 한다. 만약 쌍산의 중심 선 상으로 뻗지 못한 불배합룡은 잠룡(潛龍)이라 하여 흉한 것 으로 본다. 이를테면 임자 堧막 내룡이 뻗지 못하고, 바로 옆의 해(亥)자와 임(壬)자 사이로 뻗으면 불배합룡이다. 중요한 원리 이기 때문에 다시 설명하였다. 패철 제 5층은 천산 72룡(穿山七十二龍)을 나타낸 것으로 결인처(結姻處)의 길 흉을잰다. 내룡이 아래로 뻗어 내리다 다시 솟구치기 직전의 낮 은 부분을 결인이라풍수는 부르는데, 보통은 과협과 동일한 개 념이다. 즉 과협의 길흉을 재는 것으로사실상 현장 풍수에서는 쓰임이 적다. 9층으로 된 패철이 아니라, 5층으로 된패철을 사 용하는 풍수가는 혈의 만두[승금(乘金: 묘의 윗 중앙 부분)에 패철을 놓고내룡의 길흉을 재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혈을 이 룬 내룡의 길흉은 제 5층이 아니라 제 7층으로 감결해야 한다. 패철 5층은 내룡이 아니라 과협의 길흉을 재는 것이다. 과협의 길흉을 감결할 때는 천산 72룡 중에서 5개의 칸만 따진다. 즉 내룡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70~90센티미터의 간격 을 두고 생기의 흐름이 변하는데, 중심선은 쇠기맥으로 생기가 쇠한 곳이라 좋지가 않다. 임자룡의 경우 갑자(甲子)는 병기맥 이고, 병자(丙子)는 왕기맥이고, 무자(戊子)는 쇠기맥이고, 경자 (庚子)는 생기맥이고, 임자(壬子)는 사기맥이 된다. 이것은 원리 를 적어 놓은 것이니 외우기보다는 현장에서 분금에 맞추어 적 용하면 된다. 이 경우 생기맥과 왕기맥으로 과협이 들어와야 좋 다. 중간의 빈칸은 대공망(大空亡)이라 하여 이 칸으로 들어오 는 내룡과 맥은 쓰지 않는다. 중국의 패철에는 정(正)자로 표시 되어있다. 패철 제 6층은 인반중침(人盤中針)으로 송나라 때 뢰포의(賴布衣)가 창안했다. 그는 『최관편(催官扁)』을 저술하여 혈처를 중심으로 주변의 사봉(砂峰: 혈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의 모든 산)이 혈에 도움을 주는 것인지 혹은 해를 주는 것인지 밝혔다
패철 제 7층은 투지육십룡(透地六十龍)이라 하며, 내룡의 길흉을 정하는데 사 용되어 시신을 안장할 때는 매우 중요한 층이다. 임자룡의 경우 를 살펴보면, 갑자(甲子)는 병기맥, 병자(丙子)는 왕기맥, 무자 (戊子)는 쇠기맥, 경자(庚子)는 생기맥, 임자(壬子)는 사기맥에 해당됨을 뜻한다. 이 역시 내룡을 타고 흐르는 생기의 이기를 밝힌 것이니 현장에서 적용만 하면 된다. 현장에선 내룡의 중심 선은 쇠기맥이고, 중심선에서 70~90cm 떨어진 곳은 생기맥과 왕기맥이며, 다시 그곳으로부터 70~90cm 떨어진 곳은 사기맥 과 병기맥이다. 내당의 자연이 좌선수이면 생기맥에 혈을 잡고, 우선수라면 왕기맥에 혈을 잡는다. 중요한 것은 내룡의 중심선 인 쇠기맥에 혈을 잡으면 안된다는 점이다. 그런데도 옛 묘의 대다수는 내룡의 중심선인 쇠기맥에 혈이 잡혀져 있다. 패철 제 8층은 천반봉침(天盤縫針) 혹은 외반봉침(外盤縫針)으로 물의 득(得) 과 파(破) 그리고 묘의 좌향을 잡는데 사용한다 |
'풍수지리 > 음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의 구성 (낙산 귀산) (0) | 2016.01.05 |
---|---|
안산과 조산 (동영상) (0) | 2016.01.05 |
답사기 예릉( 서삼릉내)에서 (0) | 2015.12.09 |
답사기 (0) | 2015.12.09 |
서오릉에서 (0) | 2015.12.09 |
댓글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