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문에 붙여 여러 한약제에 대한 자료를 찾아 보면 공통된 것이 천혜의 약초 자생지가 한반도라는 것이다. 금수강산이란 옛말이 무색하지않게 아직까지는 우리나라가 산 좋고 물이 맑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보약으로 취급되는 약종은 약 50종인데 여기에 보약을 보조해 주는 약제 70여 종을 합쳐 약 120여 종이 보약제로 구분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보약으로 쓰이는 대다수의 약제는 2 ~5 년 정도는 자란 것이여야 한다. 보약은 크게 나누어 기운을 보해주는 보기약, 양기를 보해주는 보양약, 피를 보해주는 보혈약, 음기를 보해주는 보음약 등 네가지로 나누는데 자기의 허한 상태를 알아보고 쓰면 좋은데 이에 대해 약기하니 충분히 연구하시기 바랍니다 * 보약의 분류 보약은 동의학에서 나온 것인 만큼 어디까지나 전통적으로 전해내려온 동의학의 원리와 해당 약물의 주요 효능, 성분 그리고 주요 용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보기약, 보양약, 보혈약, 보음약으로 나뉜다. * 보기약제 : 인삼, 당삼, 황기, 백출, 산약, 황정, 감초, 오미자, 대조, 연자, 검인 등 * 보양약제 : 음양곽, 산수유, 복분자, 토사자, 두충, 호도육, 파극천, 동충하초 * 보혈약제 : 숙지황, 백하수오, 당귀, 작약 등 * 보음약제 : 구기자, 더덕(사삼), 천문동, 맥문동, 현삼, 석곡 등 * 장부의 보하는 부위별 * 신에 작용 : 숙지황, 구기자, 하수오, 토사자, 오미자, 음양곽 * 비에 작용 : 황기, 인삼, 연자, 산약, 대조, 창출 * 심에 작용 : 산조인, 맥문동, 당귀, 오미자, 부자, 백합 * 폐에 작용 : 맥문동, 천문동, 산약, 석곡, 황기, 당삼, 오미자, 황정 * 간에 작용 : 산수유, 숙지황, 구기자, 두충, 당귀, 하수오, 우슬 * 담에 작용 : 산수유, 당귀, 오미자 * 대장,방광 : 산수유 * 보약제의 성미 동의학에서 말하는 보기약제와 보혈약제는 대체로 성미가 달며 따스하거나 또는 매우 뜨겁다. 보혈약제와 보음약제는 많은 경우 성미가 달며 평하거나 또는 짜며 차다 보약제가 가진 단맛은 기와 혈을 보하고 매운 맛은 기를 잘 통하게 하며 한 곳에 뭉쳐 있는 기를 헤쳐준다. 성질이 따스하거나 뜨거운 보약제들은 양이 허한 증상과 기운이 모자라는 증상이 있을 때 필요하다 * 보약제의 용도 * 보기약 보기약이란 기허증, 즉 기가 모자란 병증에 쓰는 약을 말한다 기허증의 일반증상은 온몸이 나른하며 맥이 없는 것, 호흡이 빝은 것, 입맛이 없는 것, 설사하는 경향이 있고 땀이 잘나는 것, 맥이 허약한 것이다 장부상의 기허증은 페기허, 비기허이고 일반적인 약제는 인삼, 창출, 산약, 오미자 등이다 * 보혈약 보혈약이란 혈허증, 즉 피가 모자란 병증에 쓰는 약을 말한다 혈허증의 일반적인 증상은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해지고 이명현상, 불면증 등이 있고 얼굴에 혈색이 적으며 맥이 약하고 여성의 경우 월경장애가 있는데 ,장부상 혈허증은 심혈허, 간혈허 이다 일반적인 약제로는 숙지황, 하수오,당귀 등이다 * 보양약 보양약이란 양허증, 즉 양이 모자란 병증에 쓰이는 약을 말한다 양허증의 일반 증상은 추위를 몹시 타는 것, 허리와 무릎,다리에 힘이 없는 것 배가 아픈 것, 설사하는 경향이 있다. 오줌이 자주 마려운 것 야뇨증, 음위증, 유정, 몽정 등이다 양허증이란 보통 신양이 허한 것을 말한다 일반적인 약제로 음양곽, 산수유, 토사자 등이다 * 보음약 보음약이란 음허증, 즉 음이 모자라는 병즌에 쓰는 약이다 음허증의 일반 증상은 입안이 마르는 것, 낮응 열이 나는 것, 뺨이 벌개지는 것 손버닥, 발바닥이 화끈 다는 것, 가슴이 답답한것, 식은 땀, 기침, 피가래가는 것 음허증이란 보통 신음허증을 말한다 일반적인 약제로는 구기자, 사삼(더덕), 천문동,맥문동 등이다. * 보약의 금기 보기약, 보양약은 대체로 성미가 따스허거나 뜨겁기 때문에 음허화왕 증상이 있거나 진액이 고갈된 상태에 있을 때는 쓰지않는다. 보혈약과 보음약은 대체로 성미가 차고 진득기가 있기 때문에 양이 허하고 음이 왕성한 관계로 습이 중초에 많이 차있는 상태에 있을 때 ,특히 입맛이 없고 설사 경향이 있을 때는 쓰지 않는다. |